1면북한서.jpg

▲ 북한 지하교회 성도들이 최근 비밀리에 예배드리는 모습. 사진 배경이 그대로 나갈 경우 장소 노출 등의 위험이 있어 배경을 다른 장면으로 바꾼 사진이다. <모퉁이돌선교회 제공>


북한은 종교 활동을 억압하고 있지만 비밀리에 제한적으로 종교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자 중 성경을 본 사람이 2001년 이후 크게 늘어났다. 


㈔북한인권정보센터 부설 북한인권기록보존소(소장 윤여상)는 2007년부터 지난 2월까지 입국한 탈북자 1만7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최근 '2015 북한종교자유 백서'를 발표했다.

 

백서에 따르면 응답자 1만183명 중 1만146명(99.6%)은 북한에서는 종교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북한에서 종교 활동이 제한적으로 비밀스레 이뤄지고 있거나, 공식 종교시설에서 특수목적을 위한 종교 활동이 형식적으로는 이뤄지지만 일반적 종교 활동은 할 수 없는 상황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1997년 이후 탈북자부터 2015년 탈북한 응답자까지 거의 동일한 응답을 하고 있다는 것은 북한에서의 종교 활동이 현재까지 변함없이 허용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북한에서 종교 활동을 하더라도 ‘처벌받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0.5%에 불과했다. 


종교 활동을 하다 체포될 경우 53.4%는 정치범수용소, 11.5%는 교화소(한국의 교도소), 2.8%는 노동단련대에 수감되는 등 가혹한 형벌을 받는다고 탈북 주민들은 응답했다. 


지난해 7월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측과 면접한 탈북자 신모씨는 “북한 보위부에 잡혀갔는데 성경책이 어디서 났는지 따지더라”며 “밤잠도 안 재우고 묶어 놨다. 3∼4일 굶기고, 물 한모금 안 줬다”고 폭로했다. 


신씨는 “독방에 차렷 자세로 세워놓고 계호(戒護)들이 때렸다. 영양실조에 걸려 걷지도 못했다”고 말했다.


탈북자 최모씨도 지난해 11월 면접에서 “중국에서 (중략) 목사한테 성경책을 받고 북한에 들어가 종교를 선전하고 신자를 모으고, 비밀스럽게 기도드리고 했는데 걸려서 다 잡혀갔다.

 

잡혀간 사람들 다 못 나왔다. 정치범(수용소)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지난해 9월 면접한 탈북자 김모씨도 “아들이 입당까지 했었는데, 다 없어졌다”며 “인민반(북한의 최말단 행정조직)에서 신앙을 믿던 반정부세력을 철저하게 소탕했다고 한다. 


각성된 눈으로 신고하라고. 시·당에서 나와서 그랬다”고 말했다. 


하지만 북한에서도 종교 활동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었다. 북한생활 당시 종교시설을 방문했다는 응답자는 지난해 0.7%였다. 


2.8%는 북한에서 종교 활동에 몰래 참가한 적이 있었다. 


타인의 종교 활동을 목격했다는 응답자는 그보다 많은 5.1%나 됐다. 


2000년 이전 탈북자 중 성경을 본 경험이 있는 이들은 9명에 불과했지만, 그 후 탈북자 중에는 424명에 달했다. 


특히 2010년 이후 탈북한 경우 북한에서 성경을 본 경험자 비율이 6∼7%대를 넘어서는 등 매우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 탈북자 중에선 7.6%가 성경을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백서에서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종교박해가 강화되고 있다”며 “특히 2014년 4월 중순부터는 ‘기독교를 접촉한 주민들을 체포하라’는 김정은의 명령이 하달돼 중국 내륙에서도 탈북 기독교인들을 체포하기 위한 체포조가 적극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서 적발되는 주민들은 ‘정치범수용소 압송’ 등의 강력한 처벌을 받는다”고 폭로했다.  


보존소는 “북한당국은 중국에서 기독교를 접한 것으로 의심되는 주민들을 체포하기 위해 국가보위부와 정찰총국 요원, 중국 내 영사관 직원까지 동원하고 있다”며 “이전과 달리 사진을 갖고 다니며 적극적 체포활동을 벌이고 있는데 이는 주민의 사상적 동요와 이반 가능성을 초기에 단절시키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베이지역교계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