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면성난민심2.JPG


4·13총선은 명실상부한 ‘심판 투표’였다. 

여권의 오만에 대한 응징이었고, 더불어민주당 내 ‘친노(친노무현) 패권주의’에 대한 경고였다. 
새누리당은 과반 붕괴를 넘어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치른 2004년 17대 총선(당시 121석 획득) 때와 맞먹는 최악의 결과를 얻었다. 

탄핵과 같은 ‘명백한 악재’가 없었음에도 민심은 사실상 새누리당을 심판한 셈이다.

새누리당은 122석을 얻는 데 그쳐 과반에 한참 미달된다. 

집권 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지 못한 것은 김대중 정부 때인 2000년 16대 총선 이후 처음이다. 
16년 만에 국회 권력 지형이 여소야대(與小野大)로 바뀌는 것이다. 

정국 주도권이 야권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새누리당은 당초 야권 분열 속에 180석을 목표로 내세울 정도로 승리를 자신했다. 

하지만 극심한 계파 갈등과 공천 내전(內戰)에 휩싸이면서 지지층 이탈이 가속화됐다. 

수도권은 물론이고 전통 표밭인 영남에서조차 야권 및 무소속 바람이 불면서 참패했다. 

안형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초심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새누리당의 미래가 없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고 말했다.

‘선거의 여왕’으로 불린 박근혜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 탄핵 때의 성적표를 받아든 것은 충격적이다. 

‘친박(친박근혜) 패권주의’가 역풍을 맞았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민심의 ‘레드카드’에 국정 운영 방식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 교체 등 청와대 참모진 인적 쇄신 카드를 꺼낼 수도 있다.

더민주당은 수도권에서 선전하면서 새누리당을 앞섰다.

수도권 유권자들은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 속에서 더민주당에 표를 몰아줬다. 
표로 ‘야권 후보 단일화’를 이뤄준 것이다. 

하지만 더민주당을 선택했다기보다 새누리당을 경고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더민주당은 호남에서 국민의당에 참패하면서 ‘야권 적통성’을 빼앗겼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야권 통합 논의의 주도권을 잃게 된 것이다.

국민의당은 원내교섭단체(20석 이상) 구성 목표를 넘어 확고한 3당으로 급부상했다. 

호남에서 대승한 데다 비례대표 정당 득표율에서 더민주당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의석수 이상의 ‘대표성과 상징성’을 갖게 됐다. 

또 새누리당과 더민주당이 모두 과반에 못 미쳐 국민의당의 ‘몸값’은 오를 수밖에 없다. 
20대 국회 운영이 양당 체제였던 지난 16년과는 크게 달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내년 대선 지형도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더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은 상황이다. 

새누리당은 이번 총선에서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 등이 패하면서 잠재적 대권 후보군도 잃게 됐다.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가 대선 경쟁에서 한 발짝 앞서갈 여건을 만든 가운데 더민주당 김부겸, 무소속 유승민 당선자 등의 행보도 주목된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국교계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