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곤목사의일생.jpg

 

1960~70년대에는 군사 정권에 대해 반독재, 반체제 운동을 벌이는 것이 당시 대학생들과 진보적 지식인들의 관심사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김 목사의 관심은 오로지 민족 복음화였다.


이런 의미에서 그가 제안하고 추진했던 1974년 ‘엑스플로 74’는 대중 전도 운동의 정점이요, 민족 복음화의 밑거름이었다.


이 전도합숙훈련에는 공식적으로 32만3,419명이 참석했다. 당시 한국의 기독교 인구는 270만 명에서 300만 명 정도였음을 감안하면 상상을 초월한 인파가 몰린 것이었다.


엑스플로에 참가한 교회들을 중심으로 실 지 1년 후 한국교회는 33%성장했다.


이 대규모 학습 전도운동은 1995년까지 이어졌고 대학생 45만 명, 평신도 350만 명이 이 훈련에 참가했다.


민족 복음화 이전에 한 도시만이라도 완전히 복음화하자는 ‘성시화운동’을 꿈꾸고 불을 지핀 것도 그였다.


이 비전은 1972년 춘천에서부터 시작됐다.
춘천 성시화운동의 모델은 존 칼빈의 제네바이다.


김 목사는 2005년 성시화운동총재를 맡아 전국과 해외를 다니면서 성시화운동을 전개했다.


그는 “성시화운동은 전 교회가 전 복음을 전 시민에게 전한다”는 3전 전략을 세워 복음 전도와 함께시한 통계에 따르면 교인수로만 봤을 때 집회가 끝난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그는 성시화운동으로 거룩한 도시, 깨끗한 도시, 범죄 없는 도시를 만들기 원했다.
실제 성시화운동이 진행되고 있는 도시에서 이혼율이나 범죄율 등이 급감하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1980년대에 김 목사는 민족 복음화를 넘어 ‘세계 선교’로 눈길을 돌린다.


1980년 ‘80세계복음화대성회’에서 그는 한국 주도의 선교사 시대를 열 것을 역설한다.


그는 이 집회에서 당시로는 생소했던 외국 선교를 위해 기도할 것, 선교 후원에 참여할 것, 장ㆍ단기 선교사로 헌신할 것 등 네 가지를 도전했다.


그때 10만 명이 젊은이들이 장ㆍ단기 선교사로 서약 헌신을 했고, 지금 세계 선교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는 1990년 한국 교회 최초의 단기선교인 ‘뉴 라이프 마닐라 2000’으로 결실을 맺는다.


김 목사는 이때 필리핀 마닐라에 대학생 단기 선교팀 3,000여 명을 파송했다.


고인은 북한 선교에도 관심을 가져 지난 2000년 ‘북한젖염소보내기운동’을 결의한다. 2009년까지 2천여 마리의 젖염소와 착유 설비 등이 북한으로 보내졌다.


김 목사는 이 젖염소에 우리의 기도와 복음, 사랑, 대학ㆍ군대ㆍ국회에 전파한 민족 복음화 비전, 애국심을 담아 보냈다고 말했다.


이것은 그가 주창했던 양손선교(한손에는 복음을, 한손에는 사랑을)의 개념으로 먼저 사랑을 준 다음에 기회가 주어지면 복음도 함께 준다는 의미가 담긴 것이라고 한다.


평생 민족 복음화와 세계 선교, 민족 화합 등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고인은 그의 업적에 비해 늦었지만 2002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상했다.


시적인 문체와 문장력으로 유명한 그는 ‘예수칼럼’, ‘영원한 첫사랑과 생명언어’, ‘리바이벌’ 등 다수의 저서도 남겼다.


고인은 생전에 지성의 귀로와 이 시대의 희망은 ‘예수 그리스도, 십자가’인 것을 항상 강조했다.
십자가에 대한 설교는 고인의 개인적인 아픔 가운데 잉태되었다.


1982년 만 29세이던 그의 둘째딸이 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김 목사는 딸의 투병기간 동안 자신이 환상을 통해 본 것은 피 묻은 십자가였으며, 실존의 제로점에서 자신을 살게 한 것도 십자가였다고 술회했다.


CCC에서 그의 지도를 받았던 하용조 온누리교회 목사, 김인중 안산 동산교회 목사, 정정섭 한국 국제기아대책기구 회장 등은 김준곤 목사를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가진 지도자로 회상했다.


눈물이 많고, 영원한 청년으로 불릴 만큼 복음에 대한 열정도 뜨거웠다고 한다. 고인은 시각 장애인 2명에게 각막을 기증하고 떠난 것으로 알려져 마지막 생까지 잔잔한 감동을 더했다.


<끝>

특집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