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연없는2.jpg

우리가 즐겨 부르는 ‘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새 570장·통 453장)를 보자. 

이 찬송은 부부의 콜라보레이션이 돋보인다. 

가사만 읽으면 평화스러워 보이지만 내면을 살펴보면 작사·작곡가의 아픔이 자리한다.

6·25전쟁이 터진 지 3일 후 북한군은 서울을 점령하기 시작했다. 

당시 서울과 강남을 잇는 유일한 다리인 한강대교가 폭파돼 강을 건너지 못해 서울에 고립된 피란민들은 발을 동동 구르며 두려움에 떨었다. 

그러나 아내 최봉춘은 겁먹지 않았다. 

예수님을 믿는 자의 미래는 결국 영원한 행복으로 이어질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는 시편 23편을 되뇌었다.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그때 멀리서 배 한 척이 나타났고, 부부는 그 배를 타고 기적처럼 피란길에 올랐다.

 전쟁이 끝나고 남편 장수철은 홀로 유학길에 오른다. 

형편이 여의치 않아 온갖 궂은일을 하면서 시카고 무디성경학교에서 음악을 공부한다. 

어느 날 아내에게서 한 통의 편지를 받는다. 

설레는 마음에 편지를 읽다 그만 목 놓아 울었다. 

12살인 큰딸 혜경이가 폐렴으로 사망했다는 거다. 

힘겹게 사투를 벌였을 딸과 함께해주지 못한 죄책감에 아버지는 몹시 고통스러워했다. 
이어진 편지에는 아내의 따뜻한 위로의 시가 실려 있었다.

“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요/ 나는 주님의 귀한 어린양/ 푸른 풀밭 맑은 시냇물가로/ 나를 늘 인도하여주신다/ 주는 나의 좋은 목자/ 나는 그의 어린양/ 철을 따라 꼴을 먹여 주시니/ 내게 부족함 전혀 없어라.”

고통의 순간도 하나님은 선을 이루기 위해 사용하신다는 확신을 얻게 된 남편. 

그는 아내의 시에 멜로디를 입혔다. 

그렇게 부부가 만든 찬송은 그리스도인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메시지로 지금껏 널리 불려지고 있다.

우리는 절대자 하나님을 통해서만 진정한 환희를 누릴 수 있습니다.”(17쪽)

믿음의 선배들이 은혜의 찬송을 남겨준 게 고맙다. 

그들이 감사하고 감격했던 신앙의 고백을 오늘날 우리가 마음껏 부르면서 우리의 고백이 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전도기사보기